[토이 프로젝트] Spring + Redis + S3 + 이메일 인증 + Docker + CI/CD - 1
·
프로젝트/토이 프로젝트
2024-02-02 오늘의 작업을 정리하면, 1. ERD 설계 2. Git Repository Create 3. Spring Project 기본 세팅 및 패키지 설계 4. Entity 제작 5. Redis 설치 및 Spring에 Config 세팅이다. 첫 번째, ERD 설계 https://dbdiagram.io/d/ToyProject-65bc90f1ac844320ae493fa3 dbdiagram.io - Database Relationship Diagrams Design Tool dbdiagram.io DB ERD를 설계했다. 우선, 중점적인 Entity를 설계했다. BaseEntity를 두어 create_at, modified_at를 다른 엔티티가 상속받게 하였다. 또한, 이메일 인증을 위해 User ..
[토이 프로젝트] Spring 토이 프로젝트 진행
·
개발 기록
[토이 프로젝트] Spring + Redis + S3 + 이메일 인증 + Docker + CI/CD 날짜: 2023.02.02 ~ 프로젝트 시작 배경 공부해왔던 것을 바탕으로 Spring Security 구현 및 Redis를 사용해보고 싶어졌다. 또한, AWS S3 또는 NCP S3를 사용해서 이미지 업로드 구현도 개인적으로 해보고 싶었다. 마지막으로, 직접 로컬 서버에 배포해보며 자동 재배포도 목표로 시작하는 프로젝트이다. 이메일 인증과 더불어 OAuth도 시도해볼 예정이다. 아자 아자 화이팅!
맥북 VPN 및 윈도우 가상환경 접속 성공!!
·
개발 기록
3일간의 와이파이 VPN Server에 맥북으로 붙은 뒤 윈도우 가상환경에 접속하는 여정을 끝마쳤다. 중간에 포기하려 하였지만, 아쉬워서 계속 붙잡고 있던 중 지인의 도움으로 VPN 문제를 해결하였다. 지인분이 혹시, SKT 통신사 모뎀을 쓰시는지 물어보았고 확인해보니 모뎀이 따로 있었다. (하, 빨리 알았다면.... 물론, 나의 실수지만) 원래 ipTIME의 외부 IP가 192.XXX.XXX.XXX(보통 내부망)여서 의심은 했다만 너무 별 생각없이 넘어간 것 같다.. 바로 모뎀을 확인했고 모뎀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했다. 접속하고 보니 당연하게도 192.XXX.XXX.XXX이 아니였다. 따라서, 모뎀에서 다시 ipTIME 공유기의 외부 IP로 VPN 포트포워딩(5500, 500, 1701)을 해주었다. ..
[SpringBoot] OSIV와 성능 최적화
·
Spring/JPA
OSIV는 Open Session In View의 약자이다. OSIV는 Spring에 spring.jpa.open-in-view: true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OSIV 전략은 최초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시작부터 API 응답(View에 전송 및 DTO 반환 등)이 끝날 때 까지, 영속성 컨텍스트와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유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View Template 또는 Controller에서 지연 로딩이 가능하다. 따라서, 개발자로 하여금 어느 곳에서도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신경쓰지 않고 개발할 수 있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해당 전략은 너무 오랜시간동안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시간 트래픽이 중요하고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커넥션 쓰레드 풀이 모자랄 수 있다. 이는 곧 ..
일단은 같은 와이파이 환경에서 진행..
·
개발 기록
오늘도 여러 방법으로 시도해보았지만, 어려웠다.. 그냥 같은 맥과 데탑을 같은 와이파이 환경일 때 접속하는 걸로, 우선 만족해야 할 것 같다.. 그래도 한동안은 데탑 사용이 가능해서 그냥 SSH로 접속해서 사용해야 할 것 같다.
맥북 VPN 접속에 관하여..
·
개발 기록
2024-01-30에 약 5시간 가량 맥북 VPN 접속을 위해 별짓을 다해보았다... 시도 이유는 요즘 램 가격이 하락하여 만약 구입하였을 경우, AWS 대신 윈도우에 가상머신을 띄워 Kafka, Docker, WAS, Jenkins 등 다양하게 클러스터도 구축해보고 실습할 수 있어 생각에 신나서 시도했다. 그러나, 이전에는 됐는데 갑자기 업데이트가 원인인지 공유기 VPN 접속이 안된다.. 구글에 있는 모든 내용을 참고하며 공유기 설정도 계속 바꾸어 보았지만, 잘 되지 않았다..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윈도우로 접속한 결과, 윈도우는 공유기 VPN 접속이 잘 된다. 이러면 문제는 맥북인데... 윈도우에 openVPN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직접 VPN 서버를 구축해봐도 되지 않는다.. 그러다가 구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