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Cloud를 공부하며
·
개발 기록
Cloud Native, MSA, Spring Cloud를 공부하며 생각난 고민에 대한 글이다. 아직, 위에 말한 것들을 자세히 알진 못한다. 그러던 중 Spring Cloud Gateway에 대해 알아보며 사용자 인증처리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JWT를 사용하여 인증/인가 작업을 한다고 하자. (애초에 MSA는 stateless이므로 Session은 사용이 어렵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로그인 시도를 하면 인증 서버는 Access/Refresh Token을 발급해줄 것이다. 그 후, 해당 토큰을 갖고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이때, 리소스 서버는 사용자 정보에 관해 어떻게 처리를 해야될지에 관한 고민들이 생겼다. 채팅 서비스를 예로 채팅 서비스 DB에서 유저와 관련해서는 userId만이..
Github + Docker CI/CD
·
개발 기록
어제 토이 프로젝트 관련하여 AWS S3를 사용해 프로필 이미지 구현을 하려했으나 해외결제 가능 카드가 존재하지 않아서 발급받았다. 그래서 시간이 남아 어제부터 오늘까지 기존에 진행하려 했던 git과 docker를 활용한 CI/CD를 해보려 하였다. 하지만, AWS가 아니라 가상 머신에 띄워서 하려다보니 수많은 오류를 만났다. 우선, github actions를 설정하려면 접속할 수 있는 공인 ip가 있어야 하는데 가상머신에 띄우다보니 별도 설정이 필요했다. 또한, 가상 머신으로 인한 네트워크 설정에 수많은 오류를 만나다가 어느 순간부터는 내가 잘못 설정한건지 가상 머신으로 하면 안되는 것들인지 애매해지기 시작했다... 진짜 해볼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다 해본 것 같다.. 그래도 아침 10시부터해서 오늘..
2024-02-18 개발일지
·
개발 기록
정처기가 끝난 어제, 오늘해서 천천히 진행했던 토이 프로젝트와 가상 머신 설계를 열심히 했다. 토이 프로젝트 예외 처리, 테스트 코드 스니펫 설정, 이메일 인증 등 많이 구현했다. (open-in-view 처리도 하였다.) 관련 내용은 내일 한번에 정리해서 블로그에 올리려 한다. 그리고 토이 프로젝트를 develop branch를 파서 따로 올리고 있는데 깃허브 새싹이 채워지지 않아 마음이 좀 아프다.. 화이팅!!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
개발 기록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을 했다!! 공부는 한 10일 정도한 것 같은데, 확실히 기출보다는 좀 어려웠던 것 같다. 그래서, 걱정했는데 점수가 꽤 잘나와서 만족스러웠다. 실기도 붙어야지.. 그리고 이번에 시킨 램이 도착해서 가상머신 세팅을 하고 VirtualBox 자체 쉘 사용이 조금 불편해서 MobaXterm으로 접속했다.
[회고록] 해보고 싶은 것들
·
개발 기록
학부연구생 생활을 하며 k8s, Apache Kafka, Apache Spark, 하둡 등 얕게나마 알게 되었다. Ceph(Object Storage)는 한국 모 연구소에서 받은 과제를 도와주며 깊게 알게 되었고, 관련하여 KSC 학부연구생 세션에 논문도 작성하여서 그래도 좀 알게 된 것 같다.(Object Storage 포함) 그 다음으로,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쿠버네티스였다. 개인적으로, 도커라는 것을 알았을 때 정말 신기했고 대단한 기술이라고 생각했는데 쿠버네티스를 사용하여 도커 이미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다룰 수 있다는게 정말 재밌었다. 그래서, 좀 더 공부하고 싶어졌다. 인프런에서 관련 강의를 구입해서 보거나 책을 구입하여 좀 더 공부해보고 싶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조금 비싸지만 CKA 자격증도 ..
2024-02-07
·
개발 기록
오늘도 정처기 공부 모의고사를 한 번 풀고 다시, 토이 프로젝트 개발을 했다. 너무 코드만 짜다보니 코드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 Test Code를 위해 통합 테스트 환경을 구성했다. 중간중간 테스트 코드 짜는 습관을 들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