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Pod - LifeCycle
·
Infra/Kubernetes
오랜만에 `K8s` 공부를 다시 시작했다. 인프런의 일프로님의 강의를 보며 학습을 이어간다. 거두절미하고 `Pod`의 라이프사이클에 관해 정리한 내용을 포스팅하려 한다. Pod - LifeCycle`Pod`에는 라이프사이클이 존재하고 어떤 `Pod`든 생성되고 사라지기까지 일정한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Pod` 라이프사이클의 특징은 각 단계에 따라 행해지는 행동이 다르기에 라이프사이클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Pod` 라이프사이클 핵심 간단 정리PendingReadinessProbePolicyRunningLivenessProbeQosSucceededPolicyFailedUnknown 아래 사진은 `Pod`의 라이프사이클과 관련 요약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이다.  Pending -> Running..
[Kubernetes] Pod - Container, Label, NodeSchedule
·
Infra/Kubernetes
Kubernetes   Pod`Pod` 안에는 하나의 독립적인 서비스를 구동할 수 있는 `컨테이너`들이 존재한다.해당 `컨테이너`는 서비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포트를 가지고 있는데, 한 `컨테이너`가 포트를 여러 개는 가질 수 있지만, 한 `Pod`내에서 포트가 중복될 순 없다. 한 `Pod` 내에서 컨테이너는 `localhost:{해당 컨테이너 포트}`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Pod`는 생성이 될 때 고유의 IP 주소가 할당이 된다.하지만, 이는 `Kubernetes Cluster` 내부에서만 접속이 가능하고, 외부에서는 접속이 불가능하다. 또한, 만약 `Pod`에 문제가 생기면 시스템이 이걸 감지해서 `Pod`를 삭제하고 다시 재성성한다.이때, 고유의 IP 주소는 변경이 된다. 즉, 휘발성이..